관절염 형성의 메커니즘과 자연치료제
질병과치유 2014. 12. 17. 21:29 |관절염 형성의 메커니즘과 자연치료제
1.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면역시스템에 이상이 생겨 염증반응이 끊임없이 증폭되고 면역세포들이 돌연변이를 일으켜 지켜야 할 자기 몸을 공격하는 것으로 이를 자가면역질환이라고 한다. 한 마디로 면역시스템 붕괴를 의미한다.
자가 면역질환에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피부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손가락, 손, 발, 손목, 발목, 무릎등 여러 관절이 아프고 붓는 염증이 발생하고 근육, 피부, 폐, 눈 등 여러 장기에도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 전신적인 만성 염증성 질병이다. 우리 나라 인구 중 약1%(50만명)가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2.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은?
쉽게 피곤하고 손가락, 손목, 팔꿈치, 어깨, 발가락, 발목, 무릎 등이 쑤시고 아프고 붓거나 열이 나고, 양쪽 관절이 같이 아프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관절이 더 아프고 뻣뻣한 증상이 한시간 이상 지속되고 오후가 되면 증상이 다소 가벼워진다.
이러한 관절증상 이외에도 턱 관절과 목 관절에 침범하여 입을 벌릴 때 아프거나 입을 벌리기가 힘들고 목이 뻣뻣하면서 아픈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피부에 덩어리나 결절이 나타나거나 눈물이 말라서 눈이 뻑뻑하고 충혈이 잘되거나 기침이 나고 숨이 찬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나기도 한다.
3. 류마티스 관절염의 원인은?
활성산소 공격으로 면역시스템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외부에서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자연 면역시스템인 백혈구에서 면역세포를 총 동원하여 이를 제거하여 세포와 조직을 보호해준다.
관절염이 심화되는 과정은 암이 형성되는 과정과 경로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관절염 치료제도 암치료제와 별반 다르지 않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정확한 발병 원인을 알 수 없다고 잡아떼지만 국내외 수백 편의 논문을 분석해보면 근본 원인은 한결같다. 저산소증(활성산소는 많아지고 산소는 부족해지는 현상)에 의한 면역시스템 고장이다.
면역시스템이 붕괴되면 염증을 증폭시키는 유전자의 비정상적인 활성, 면역세포의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 공격, 이로 인해 또다시 면역시스템의 교란...악순환이 반복되며 염증은 심화되어 간다.
산소부족이 심화되면 관절염 뿐 아니라 비만, 당뇨병, 고혈압이 연쇄 다발적으로 찾아온다. 이들은 서로의 질병에 악영향을 미치며 몸을 점점 망가뜨린다.
4. 류마티스 관절염의 형성과정은?
염증반응 증폭 감염바이러스가 침투하면 마스트세포(mast cell, 비만세포)가 히스타민이라는 독성 화학물질(호르몬)을 분비하여 손상당한 세포(피부) 상처 부위에 염증을 일으킨다.
그러한 염증을 증폭함으로써 백혈구 사령부에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아이고 아파죽겠으니 빨리와서 적을 물리치시오”라고. 통증을 느끼는 것이 곧 비상 사이렌이다.
바이러스 제거 그러면, 백혈구 사령부인 마크로파지(대식세포)가 직접 현장에 나와 적들을 공격하여 죽이고 집어삼킨 후 맛을 본다. “이 넘들이 도데체 얼마나 강하고 어떤 종류의 똘마니 집단인가…” 성분분석이 끝나면 곧바로 대기하고 있던 T-세포에게 적에 관한 정보를 넘겨준다.
T-세포는 탱크부대와 화학부대를 거느린 정예전투부대로 넘겨받은 정보를 가지고 적들을 무찌르고 동시에 또다른 전투부대인 B-세포와 정보를 공유하며 적을 사살하라고 명령한다.
또 한편으로는 T-세포는 생화학부대인 사이토카인(인터루킨, Bcl-2, Bcl-XL)을 마구 분비하여 적들을 녹여버린다.
자, 이것은 건강한 사람의 자연면역시스템이다.
01. 잘못된 생활습관 그런데, 이 정교한 시스템이 고장이 날 때가 있다. 세포의 주인인 사람이 허구헌날 줄담배나 피워대고 운동도 안하면서 돼지삼겹살에다 소주를 줄창 마셔대며, 맨날 영업실적 채우느라 스트레스가 목에 까지 차올라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적이 쳐들어올 때 마다 세포들은 죽을 힘을 다해 방어전을 펼친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이 10년 이상 지속된다. 일요일 만이라도 야외로 나가 신선한 공기를 쐬어 그 동안 고생한 세포들에게 산소라도 맘껏 마시게 해주어야 하는데, 많은 걸 바라지도 않는데…사람은 그걸 무시한다.
물론, 먹고살기 바빠 못챙길 수도 있다. 그러나, 세포들은 그 사정을 모른다.
02. 잘못된 식습관 술담배가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일어나기 때문이다. 무엇 보다 균형잡힌 영양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이유이다.
즉, 세포들에 산소를 공급해주는 식품-비타민, 오메가-3 지방,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단백질, 미네랄, 폴리페놀 등-을 적절하게 섭취하지 않은 것이 가장 크다.
이러한 천연 항산화제를 평소에 충분히 먹어주면 운동 충분히 안하더라도 어지간한 바이러스 공격에 쉽게 면역시스템이 고장나질 않는다. 그렇게 허술하지 않다.
그런데, 동물성 기름기가 흐르는 음식을 좋아하고 피자나 라면 같은 인스턴트 식품에 감자튀김 같은 트랜스지방이 잔뜩 들어있는 음식을 좋아하고 정제된 백설탕이나 과자 등 등…이러한 것들을 많이 먹어대면 아무리 운동을 열심히 해도 세포는 산소부족에 시달리게 된다.
좀 길어졌네…
원래 건강한 상태에서도 몸 속에는 염증과 암을 일으키는 세포들이 1,000~3,000 개 정도는 늘 생겨난다.
이렇게 산소부족 상태가 지속되면, 죽어나는 것은 세포요, 살판 나는 것은 바이러스 들이다.
03. 면역체계붕괴 자, 어느 추운 겨울 날 좀 성질이 고약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몸 안으로 들어와 세포 속으로 침투하였다. 역시 우리의 면역세포들이 부지런히 출동한다.
그런데, 근력이 예전 같지가 않다. 힘을 쓰려고 해도 말을 안듣고, 마스트세포가 생화학무기를 발사하여 염증을 일으키는데, 일주일이 지나도 멈추지 않고 계속 뿜어댄다. 이것은 마스트세포가 고장났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면역세포가 고장났기 때문이다.
그 긴 시간 동안 마크로파지나 T-세포는 고스톱 치느라 바이러스 공격을 막지 않았나? 그렇지 않다. 그들은 천성적으로 게으름을 므르고 태어났다. 그런데, 적들한테 주먹질을 해도 허공의 바람만 가르고, 공격해 들어가도 적들이 무시하고 비웃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04. 면역세포의 반란 그러던 어느날 면역세포 중 일부는 적에게 포섭당하여 (감염 되어) 오히려 아군을 공격하기 시작한다.
원래 우리 몸의 세포는 약 3개월의 수명을 다하면 자연사로 죽음을 맞이한다. 그런데, 적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정상적인 자연사의 길을 가지 않고 살아남아 고약하고 악랄한 적군으로 변신한다.
대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가 염증을 크게하여 관절염을 심화시키고 암을 크게 하는 NF-kB이다.
이 넘은 원래 세포의 분열과 성장을 위해 활동하던 일군인데 변이가 되어 거의 대부분의 염증-관절염, 피부염,알레르기, 암-을 키우고 세포들이 자연사하는 것을 방해하여 적군으로 포섭하는 일을 하는 악질 중 악질로 변한다.
기존에 몸 속에 포진하고 있던 암세포들을 부추켜 세력을 확장하도록 에너지를 공급해준다.
그리고, 원래는 늙어 쓸모없게 된 세포나 바이러스에 감연된 세포들을 청소하는 아주 막중한 감찰대 역할을 하던 p53이란 유전자도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NF-kB와 마찬가지로 적의 선봉장으로 활동한다.
그리고, 면역체계의 행동대장인 T-세포 및 외부의 적을 물리치기 위해 T-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 내 사이토킨 패밀리[TNF-α, Bcl-2, Bcl-XL, interukin] 등의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켜 정상세포를 공격하는 일이 관절염에서 흔하게 발견된다. 이들 역시 죽어야 할 세포가 죽지않고 좀비가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면역시스템에서 일하다가 적군으로 변신하는 유전자는 이 외에도 많다.
적을 물리치고 잡아가두는 일을 하던 면역세포들이 돌변이를 일으키면 상황은 매우 심각해진다.
원래 하던 일을 그만두는 것 만으로 바이러스들이 더 활개치도록 방치하는 결과가 되는데, 거기에 더하여 적군에 가담하여 아군을 공격하니 그 폐해는 몇 배로 커지게 되는 것이다.
뿐 만 아니라 이들의 활동으로 웬만한 항균 화학물질을 쏟아부어도 약물을 비웃고 살아남는 내성이 생긴 바이러스들이 더 많이 생겨난다.
이렇게 해서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암이 커지게 된다.
오죽하면 자신을 위해 헌신하던 세포들이 돌연변이를 일으키겠는가? 주인인 사람 탓이다.
3.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방과 치료는 가능한가?
가능하다.
일단 여기 저기 쑤시는 증상이 자주 발생하고 감기에 걸리면 일주일 이상 장기화 되면 면역체계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감지하고 곧바로 면역강화 작업에 돌입하면 된다.
일단 잠 충분히 자고, 산소공급이 풍부한 음식을 위주로 식단을 짜고…이렇게 3개월 이상 지속하면 다시 자연 면역시스템의 세포들이 많이 늘어나고 힘도 강해져 커지던 관절염도 다시 쭈그러들게 되어 있다.
이것은 관절염이 심화되고 다른 합병증으로 번지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고, 치료는?
만성질병이라고 체념해버리고 평생을 달고 사는 것처럼 미련한 사람은 없다.
노력 여하에 따라 완치도 가능하다.
아까도 얘기했지만, 관절염은 암이 형성되는 것과 비슷하여 암을 치료하듯 면역요법과 병원 치료를 병행하면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다. 병원치료는 면역시스템 기능 회복 보다는 염증세포 만을 죽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절대로 완치가 안되는 것이다.
어떻게 그 극심한 고통을 달고 평생을 산다는 말인가?
병원치료에서는 주로 소염진통제와 항류마티스 약물(금제재, 항말라리아 제재, 메토트레 세이트, 설파살라진, 부실라민), 스테로이드 호르몬 등을 처방한다.
그런데, 그런 합성 화학약품 만으로는 어느 정도 완화는 가능하겠지만 절대로 완치가 안된다.
또한, 스테로이드나 다른 합성화학 약물을 장기복용하면 간 손상, 뇌 손상 등 다른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반드시 중장기적인 스케줄을 가지고 자연요법으로 치료해야 한다.
일단 병원에서는 통증과 붓기를 완화해주는 선에서 치료를 받고 자연요법을 동원해야 한다.
근본원인을 제거하는 것 만이 완치의 길이지, 일시적으로 통증을 줄이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그래서 관절염, 당뇨병 등을 치료하는 의사들이 관리만 잘해도 성공하는 것이라고 변명아닌 -말도 안되는-변명을 늘어놓는 것이다.
암, 제2형 당뇨병, 관절염, 심혈관 질환, 피부질환은 발병 원인과 경로가 거의 유사하다.
면역시스템의 고장이다. 따라서, 치료의 가장 우선은 자연 면역시스템을 회복시켜주는 일이다.
스테로이드는 일시적 통증만 가시게 할 뿐 완치에는 전혀 도움이 안된다.
자연치료요법 중에서 스테로이드 성분이 있는 것, 염증을 없애주는 것,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죽이는 것…등등을 골고루 이용하면 염증치료와 동시에 면역기능을 강화시켜주는 일거양득의 길이 된다.
이것이 자연치료의 가장 큰 매력이다.
물론, 어느 정도의 경제적 부담과 끈질긴 노력이 필요하다.
관절염 치료를 잘하면 절대로 암에 걸릴 일이 안생긴다. 다르 당뇨병이나 고혈압에 걸릴 걱정도 할 필요가 없다.
왜냐면 면역시스템을 튼튼하게 해주면 바이러스들이 판을 칠 공간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관절염의 자연치료제는?
나이가 연로하신 분들이나 소화기관이 약한 분들은 효소테라피가 가장 적절한 자연치료법이 된다.
관절염과 암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물질이 심황의 커큐민이다. 이것은 가격도 저렴하고 염증을 크게하는 NF-kB 등 웬만한 돌연변이 유전자들을 모조리 잡아내는 아주 기가 막힌 천연 관절염 치료제와 항암제이다.
그리고, 식품으로는 마늘과 양파의 황함유성분인 알리신 또한 아주 훌륭한 관절염 치료물질이다.
마늘과 양파를 평상 시 보다 3배 이상 많이 섭취하라. 요리할 때 마늘과 양파를 일반 야채 처럼 잔뜩 집어넣으면 맛도 있고 치료약도 된다.
그리고, 우리가 흔히 먹는 고추가루, 들깨가루, 후추, 겨자 등도 매우 훌륭한 암과 관절염 치료제이다.
평소 보다 섭취량을 두 배 이상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그 외에도 종류가 많으니 항앙식물 및 항암물질 칼럼을 참고하여 하나 씩 실천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한 번 강조하지만 관절염(루푸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자가면역질환)의 주 원인은 유전적인 원인도 있겠지만 후천적으로는 99%가 활성산소이다. 거꾸로 얘기하면 혈관 속 산소부족이다.
혈관 속 산소공급이 충분하면 자연면역시스템이 왕성하게 활동하여 독성물질이 몸 속으로 들어와도 충분히 분해해버린다. 웬만한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하루 이틀이면 다 제압해버린다.
본 칼럼에서는 담배 끊어라 술 끊어라 운동 많이 해라…그런 상투적인 멘트는 생략하겠다.
관절염 치료는 암치료의 과정과 거의 유사하다. 왜냐면 치료 메커니즘이 거의 같기 때문이다.
종류 | 종양촉진유전자 차단효과 | 활성 | 소스 |
갈산 gallic acids ★★★★ | NF-kB, COX-2, TNF-α, BCL-2, Bcl-XL, PKCe, GSK-3b, MMP-2, MMP-9, VEGF 및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caspase-3, -8, -9; | 모링가, 망고스틴, 오배자, 옻나무, 비단풀 |
감보그산 gambogic acid ★★★★★ | NF-κB, COX-2, p53, HSP(열충격단백질),RAS, p53, Survivin, Bcl-2, Bcl-XL, p21, AP-1, MAPK, ATR, FAK, APT, STAT3, VEGER2, MMP-9, MMP-2, VEGF 및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GSH; ↑GPX ↑caspase-3, -8, Bax | 망고스틴과(Garcinia) 망고스틴 가르시니아 |
게라니올Geraniol★★★★ | NF-kB , COX-2, Bcl-2, Bcl-XL, cyclin, DK2, HSP(열충격단백질) , MMP-2 ,-9, VEGF |
| 바질, 레몬그라스 |
글리시르 하이진 Glycyrrhizin★★★★ | ↓NF-κB, H-ras, Bcl-2, Bcl-xL, Bak, PPARγ | ↑caspase-3, -8, -9; ↑PARP | 감초 |
네롤리돌nerolidol★★★ | NF-kB, COX-2, Bcl-2, Bcl-XL, p53, Bcl-2, Bcl-XL, F1-ATPase, PI3 Kinase , Akt |
| 구아바, 네롤리, 레몬그라스, 쟈스민 |
디오스게닌Diosgenin★★★★ | ↓ NF-κB, Bcl-2, Bcl-XL, survivin, p21, p53,JNK, HMG-CoA reductase, AIF, β-catenin, XIAP, cyclin D1, cdk-2, cdk-4, ↓PI3K/Akt/mTOR, JNK, HMG-CoA, ↓Ras, | ↑p21, ↑p53 | 참마, 호로파,당귀 |
디올Ddiol★★★★ | ↓NF-kB, COX-2, JNK, TNF, ERK, PI3K/. AKT, MAPK, TNFR, ↓VCAM, ↓EGFR, ↓VEGF | ↑GST ↑caspase-3, -8, | 구아바 |
라이코펜 Lycopen ★★★★★ | NF-kB, COX-2, p53, TNF-α,Bcl-2, Bcl-XL, PDGF, bFGF, VEGF,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GST ↑Bax,↑caspase-3, -8, | 토마토, 수박,구아바, 파파야 |
레스베라스톨Resveratrol★★★★★ | NF-kB, COX-2, 5-LOX,iNOS, JNK, MEK, AP-1, Cip1, survivin, cyclinD1, Bcl-2, Bcl-xL, IL-1b, IL-6, IL-8, Egr-1, PKD, TNF-a, AMs, PI3K, MMP-2,-9, VCAM-1,,VEGF 에테르, 에틸알콜, 아세톤에 녹는다. | p21 Cip1/WAF1, p53, Bax, caspases, Nrf2 | 적포도주 콩류 |
레티놀 Retinol★★★★★ | NF-kB, COX-2, 5-LOX, p53, Bcl-2, Bcl-xL,TNF, ATRA/RAR/RARE , PI3K , ICAM, VEGF | ↑caspase-3, -8, | 모링가, 파프리카, 동물간,어유 |
로즈마린산Rosmarinic acid★★★★★ | [ NF-kB, COX-2, TNF-a, Bcl-2, Bcl-XL, IL-6,-8, AMs, VEGF, PDGF] 및DNMT(DNA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caspase-3, -8, | 로즈마리, 레몬밤 깻잎 |
루페올Lupeol ★★★★★ | ↓NFκB, COX-2, Bcl-2, Bcl-xL, cFLIP, Fas,Kras, HSP, survivin, Bax, p53, PI3K/Akt,Wnt/β-catenin, ↓mRNA, VEGF, HADC(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 | ↑caspase-3, -8; ↑FADD | 망고스틴, 느릅나무,망고올리브딸기,포도 |
루테인★★★★ Lutein | NF-kB, COX-2, p53, Bax , Bcl-2, Bcl-xL, mRNA TNF-α, PDGF, bFGF, VEGF |
| 시금치, 케일,갓 |
루테올린Luteolin★★★★★ | Nf-KB, COX-2, Bcl-2, BCl-XLmRNA, ERK1/2, MAPK, PI3K/AKT, MMPs, , IGF-I , VEGF, DNMT(DNA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 파슬리, 타임 |
루틴Rutin★★★★ | NF-kB, COX-2, 5-LOX, Bcl-2, Bcl-XL, TNF-a, IL-1b, AMs, P21, P53, MMP-2, MMP-9, VEGF |
| 모링가, 꾸지뽕 밀,사과, 아스파라거스 |
리모넨Limonene★★★★ | NF-kB, 5-OLX, COX-2 p-53, TNF, bcl-2, Bcl-XL, ERK, CDK2, MARK, VEGF | 간암, 대장암,유방암, 췌장암 | 감귤류, 회향,구아바잎 |
미리세틴Myricetin ★★★★★ | NF-kB, COX-2, 5-LOX, Bcl-2, Bcl-XL, TNF-a, ERK, MMP-2, MMP-9, VEGF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 마늘,고추, 구아바 월넛,레드와인 |
바이칼레인Baicalein★★★★ | NF-kB, COX-2, CDC2 kinase.cyclin B1, TNF-α, Bcl-2, Bcl-XL, PI3K/Akt, DNMT, MEK, p38 MAPK, MMPs, VEGF | 유방암, 피부암 | 황금 |
바코사이드A(사포닌)Bacoside A★★★★ | ↓NF-kB, COX-2, AFP; ↓CEA; ↓5’-nucleotidase; ↓ALT; ↓AST; ↓LDH; ↓ALP; ↓GGT; ↓MMP-2; -9, VEGF | ↑SOD; ↑CAT; ↑GPX; ↑GR | 브라미 (Bacopa monniera) |
베르베린Berberine★★★★ | NF-kB, COX-2, HSPs, PGE-2, TNF-α, IL-1b, IL-6, Survivin, Bcl-2, cyclin, Bcl-XL,HIF-α,MMPs, VEGF | ↑caspase 3, 8 | 암팔라야, 매자나무, 황백련 |
베툴린산Betulinic acid | ↓NF-κB, ↓PI3K/AKT; ↓GLI1; ↓PTCH1; ↓p53, ↓IGF2STAT3, Bax, Bcl-2, Bcl-xL, ↓cyclin D1,FAK, VEGF | . ↑caspase 3 ↑Bax | 자작나무, 아네모네, 브라미, 병풀 |
베타카로틴 β-carotene★★★★ | NF-kB, COX-2, Bcl-2, cyclin, MMP-2, MMP-9, VEGF | ↑caspase 3, 8 | 모링가 당근, 고추,고구마, 호박씨, 팜오일 |
베타카리오필렌 ß-Caryophyllene★★★★ | NF-κB, COX-2, 5-OLX, TNF, bcl-2, bcl-xL, survivin, p53, IAP-1, IAP-2, IL-1β, IL-6, cyclin D1 , PI3K/AKT/mTOR/S6K1, MAPKs, VEGF | ↑caspase 3, 8 | 오레가노, 바질, 세이지,타임, 망고잎 |
베타엘레멘 ß-Elemene ★★★★ | ↓NF-kB, COX-2, cyclin B1, Cdc2, Bcl-2, Bcl-XL, MMPs, VEGF | ↑p53, p21waf1/cip1, p27kip1 and Gadd45 | 목련, 초령목,생강 |
β-시토스테롤 β-sitosterol★★★★ | NF-kB, TNF-a, COX-2, 5-LOX, ERK,MMP-2, MMP-9, VEGF | ↑caspase 3, 8 | 모링가 현미, 아마씨, 콩 |
사포닌Saponine★★★★ | ↓NF-κB, COX-2, NF-AT, AP-1, IL-6, TNF- , IFN- , PKC , JNK, p53, Fas/FasL, ERK, PI3K/Akt, MMPs, VEGF | ↑caspase 3, 8 | 인삼 암팔라야 모링가, 호로파, 참마 |
싸이멘 p-Cymene★★★ | NF-kB, 5-OLX, TNF-α, IL-1β, IL-6 | ↑p53, p21waf1/cip1, p27kip1 and Gadd45 | 오레가노 |
설포라판Sulforaphan★★★★ | NF-kB, COX-2, Bcl-2, Bcl-XL, Nrf2/ARE, C/EBP, CREB and AP-1, ↓ PI3K/Akt , MAPK, iNOS, MMP-2, MMP-9. VEGF | ↑caspase 3, 8 | 식이유황(마늘 모링가,) 십자화과 (케일, 양배추, 상추,갓 브로콜리) |
실리마린Silymarin★★★★ | NF-kB, COX-2, 5-LOX, STAT-3, MAPK, MMP-2,-9, HGEF, EGFR,VEGF | ↑caspase 3, 8, Bax | 밀크티슬(엉겅퀴) |
아시아트산Asiatic acid★★★★★ | ↓NF-κB, COX-2, Fas, STAT3, Bcl-2, Bcl-xL, ↓cyclin B1, ↓cyclin A, ↓Cdc2, ↓ERK 1/2↓Cdc25C, ↓MMPs, ↓VEGF | ↑Ca2+; ↑p53, ↑Bax; ↑p38, p21/WAF1 | 병풀 (Centella asiatica) |
아세토게닌Acetogenin★★★★★ | NF-kB, COX-2, 5-LOX,, TNF, Bcl-2, Bcl-xL,MMP-2, MMP-9, ICAM-1, VEGF VEFF(종양의 신생혈관) 억제 | ↑p53, p21↑Bax | 그라비올라,슈가애플,체리모야 포포(파파야) |
아피게닌Afigenin★★★★★ | NF-κB, COX-2, 5-LOX, Bcl-2, Bcl-XL, Survivin, XIAP, TNF. mRNA, IL-1β, cyclin,CDK, c-Myc, ICAM-1, MMP-2, MMP-9, MAPK, VEGF(종양의 신생혈관) | ↑p53, p21↑Bax ↑caspase-3, -8, -9; | 파슬리, 고추 셀러리, 구아바, |
안드로그라 폴라이드Andrographolide★★★★★ | ↓NF-kB, COX-2, MAPKs; cyclinD1, Myc and survivin, Bcl-2, Bcl-XL, IL-6, JAK-STAT3 PI3K/Akt, EGFR, SHP90(열충격단백질), ↓VEGF, HDAC, DNMT | ↑p53, PK, p38↑GSH; ↑GR; GPX; ↑SOD ↑caspase-3,8,-9; ↑pJNK;↑ERK1/2 | 천심련 |
안토시아닌Aanthocyanin★★★★ | NF-kB,COX-2, MMP-2,-9, VCAM-1, bFGF, VEGF |
| 검은콩, 검은깨, 가지, 포도, 자두, 산딸기 |
알리신 Alicin★★★★ | NF-kB, COX-2, TNF, IL-1β, IL-8, Caspases, ICAM-1. MMPs, VEGF |
| 마늘, 양파,부추 |
알파망고스틴α-Mangosteen★★★★★ | NF-κB, COX-2, p53, p21, Survivin, Bcl-2, Bcl-XL, TNFs, AP-1, MAPK, ATR, FAK, APT, ErK, MMP-9, MMP-2, VEGER2, VEGF | ↑caspase-3, -8, -9, p53, p21, Bax, | 망고스틴과(Garcinia) 망고스틴 가르시니아 |
α-투존 α-Thujone [ketones] ★★★★ | TNF-α, IL-1β, and IL-6, COX-2, MMPs, VEGF 등을 차단함으로써 암세포의 자멸사 유도 | ↑caspase-3, -8, -9, | 허브오일, 오레가노, 구아바 잎 |
α-피넨 pinene ★★★ | .NF-κB, COX-2, 5-OLX, Ras, TNF-α, IL-1β, IL-6 | ↑caspase-3, -8, -9, | 바질, 오레가노, 세이지 |
엘라그산Ellagic acid★★★★★ | NF-kB, TNF-a, COX-2, 5-LOX, HSP(열충격단백질), ERK, Survivin , Bcl-2. Bax. XIAPcyclin D1, PI3K/Akt , MMP-2, MMP-9, VEGF | p21/WAF1, p53 | 구아바, 암팔라야, 석류,라스퍼베리,딸기, 포도 |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 ↓NF-κB, Bcl-2, Bcl-XL, Ssurvivin, mTOR, PARP, Akt, ↓Na+-K+- ATPase; ↓PARP,MMPs, ↓ICAM-1; VEGF | ↑Bax, caspases-3, -8, -9, | 구아바, 더덕 두릅, 여정자,겨우살이 |
유게놀Eugenol★★★★★ | NF-kB, COX-2, 5-LOX, survivin , Bcl-2 , c-Myc , H-ras, TNF-a, IL-1β, IL-6, MMP-2,-9, VEGF | ↑caspase-3, -8; | 스위트바질 정향(클로브), |
우르솔산Ursolic acid★★★★★ | NF-κB, ↓COX-2↓HSPs ,Bcl-2, Bcl-XL, Ssurvivin, Mcl-1, Caspases, Cyclin D1,↓PI3K/Akt, MMP-2, MMP-9, VEFF(신생혈관) 억제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Bax, caspases-3, -8, -9, ↑p53 | 홀리바질, 구아바 백화사설초 하고초, 비파엽 |
인돌-3-카비놀Indole-3-Carvinol★★★★ | ↓NF-κB, ↓Cyclin D1, ↓Bcl-2,↓FOXO, MMP-2,-9, HGEF, VEGF |
| 십자화과 (케일, 양배추,배추, 상추,브로콜리) |
제니스테인Genistein★★★★★ | NF-kB, COX-2, caspase-12, TNF-a, IL-1b, IL-6, p38MAPK, MMPs, VEGF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P21/WAF1, glutathione peroxidase | 콩류, 청국장 |
진저롤Gingerol★★★★ | NF-kB, COX-2, TNF, Bcl2AP-1, ODC, iNOS, p38MAPK, HIF, VEGF | caspase-3 | 생강 |
카테킨 EGCG★★★★★ | NF-kB, COX-2, 5-LOX, AP-1, JNK, Bcl-2, Bcl-XL, cyclinD1, TNF-a, IL-6, AMs, IGF, MMPs, VEGF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HO-1, p53,p21/WAF1 | 녹차, 감잎 꾸지뽕 암팔라야잎,모링가잎 |
카바크롤Cavacrol★★★★ | NF-kB, COX-2, HSP, p53, Bcl-2, Bcl-XL,Ras, TNF-α, IL-1β, IL-6, MAPK/ERK, PI3K-Akt, MMPs, VEGF | PPAR, IKK, GST | 오레가노 타임 |
캡사이신Capsaicin★★★★ | NF-κB, COX-2, STAT3, Bcl-2, Bcl-xL,Survivin, CIAP, Cdc25, Cdk1, Cyclin D1, MMP-9, VEGF |
| 매운고추 |
커큐민Curcumin★★★★★ | NF-kB, COX-2, 5-LOX, PGE-2, p53, ELAM, TNF-a, IL-1b, IL-6, IL-8, Survivin, MCP-1 AMs, AP-1, STAT3, MMP-2, MMP-9, VEGF 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PPAR, Nrf2, IKK, GST, "GSH-px, HO | 튜메릭(울금) |
케르세틴Quercetin★★★★★ | NF-kB, COX-2, 5-LOX, cyclin D1 survivin, p53, Bcl-2, Bcl-XL, Wnt/beta-catenin , RP, TKS, ER, HSP TNF-a, TNF-a, IL-1b, AMs,P21, P53, MMP-2, MMP-9, VEGF,DNMT(DNA 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caspase-3, -8, Gadd45 | 마늘, 양파,모링가, 사과,홍고추, 딜, |
커큐배타신Cucurbitacin★★★ | NF-kB, COX-2, TNF-a, ↓cyclin D1; ↓cdc2; ↓c-Raf, ↓phospho-STAT3 | ↑caspase-3 | 가지, 오이,호박씨 |
코로솔산Corosolic acid★★★★★ | ↓ NF-kB, COX-2, Survivin, Bcl-2, Bcl-XL, TNF-α, p53, RAS, STAT3, cyclin D1, Tyrosine kinases, MMP-9, VEGF 후성유전자[DNMT(메틸화효소), HDAC(탈아세틸화효소)] 차단 | ↑P53, Bax, Caspas3,-9 | 구아바 바나바 비파 |
쿠마린 Coumarins ★★★★ | NF-kB, COX-2, TNF-a, Bcl-2, Bcl_XL,MMPs, VEGF 및 DNMT(DNA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차단 |
| 당귀, 강활,사철쑥, 도라지, 계피,정향 |
크잔톤 Xanthones★★★★★ | NF-kB, COX-2, 5-LOX, HSP(열충격단백질),RAS, LAT, p53, Bcl-2, Bcl-XL, Survivin,TNF-a, IL-1β, IL-6, MAPK, ↓PI3K/Akt , ERK, STAT, MMPs, VEGF DNMT(DNA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P53, Bax, Caspas3,-9 | 망고스틴과(Garcinia) 망고스틴 가르시니아 |
크립토잔틴 Cryptoxanthin★★★★ | NF-kB, COX-2, 5-LOX, Bcl-2 , Bcl-xL, mRNA, TNF-a, ERK, MMP-2, MMP-9, HIF-1α, HGEF, VEGF | ↑P53, Bax, Caspas3,-9 | 모링가, 파파야, 망고, 복숭아, 오렌지 |
파네톨라이드parthenolides★★★★★ | NF-kB, COX-2, Ras, p53, HSPs, TNF-a, Survivin, Bcl-2, Bcl-XL, ERK, JNK, MAPK, PI3K/Akt, STAT3, MMPs, VEGF,DNMT(DNA메틸화효소), HDAC(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 | P53, reactive oxygen species | 피버퓨 |
페룰린산 ferulic acid★★★★, | NF-kB, COX-2, p53, Bcl-2, Bcl-XL, TNF-aPDGF , HIF-1α, VEGF, |
| 쌀눈, 부추,소나무 |
페릴릴알코올 perillyl alcohol★★★★ | . NF-kB, COX-2 , c-Myc, cylins, Na/K-ATPase Akt, Ras/Erk, MMPs, VGEF |
| 망고잎, 레몬그라스 |
프로 안토시아니딘 Pro nthocyanidins★★★★ | NF-kB, COX-2, 5-OLX, TNF-a, Bcl-2, PI3K/Akt, MMP-2, MMP-9. VEGF |
| 계피, 포도씨 붉은콩, 케인베리, 모링가,코코아, 사과 |
플라보피리돌Flavopiridol I★★★★ | NF-kB, IAP-1, Bcl-2, survivin, CDKs, MMP-2/-9, c-erbB-2, HIF-1α, VEGF |
| 멀구슬나무과 (Maliaceae) |
피페린piperine★★★★ | NF-kB, COX-2, c-Fos, CREB, ATF-2 TNF , IL-1β, BCl-2, Bcl-XL, MMPs, VEGF |
| 후추 |
휴물렌Humulene★★★ | NF-kB, COX-2, TNF , IL-1β, BCl-2, Bcl-XL |
| 홉, 코리안더,카나비스 |
NF-kB(Nuclear Factor kappa B), COX-2(cyclooxygenase-2), 5-LOX (5-Lipoxygenase),TKS(Tyrosin Kinase Receptor : 티로신인산화수용체), ER(Estrogen Receptor : 에스트로겐수용체),HSP(Heat Shock Proteins : 열충격단백질), RAS(ras protein : 라스단백질), TNF(tumor necrosis factor : 종양괴사인자), IL-1(interleukin : 인터루킨), MAPK(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세포분열 촉진 단백질), ICAM-1( 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 : 상피부착분자. 혈관신생 촉진유전자), MMP(matrix metalloproteinase : 금속 단백질분해효소, 암세포 전이에 필수유전자),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혈관내피성장인자. 혈관신생 필수 유전자) |
'질병과치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당뇨병 ‘합병증’도 꼭 보험금 받으세요 (0) | 2014.12.25 |
---|---|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의 정의와 치료 (0) | 2014.12.18 |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 예술치료로 이겨내다. (0) | 2014.12.15 |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 발생 원인과 치료방법 (0) | 2014.12.15 |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란 무엇인가? (0) | 2014.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