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의 진행단계

암 Cancer 2014. 11. 26. 10:18 |

위암의 병기

  • 병기란?
    • 병의 진행 정도를 간략하게 몇 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 병기의 필요성 및 효용성   

    -  환자분들께 설명할 때 필요합니다.
    -  의사들 간에 의견을 교환할 때 유용합니다.
    -  환자의 치료 후 경과를 예측할 때 쓰입니다.
    -  환자의 치료 방법을 선택할 때 사용됩니다.
     

  • TNM 병기 분류
    • 현재 국제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병기 분류 체계입니다..  
    • 미국을 중심으로 한 암연구 단체인 AJCC(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와 유럽을 중심으로 한 UICC(International Union Against Cancer)가 공동으로 참여하여 만들었습니다.
    • 2010년에 7판으로 개정되었습니다.  
       

TNM 분류법  

  •   T (Depth of Tumor, 종양의 침습깊이)   

-  위암은 위의 가장 안쪽층인 점막층에서 발생하여 바깥쪽 방향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자랍니다.
-  점막층에만 있는 위암을 T1a, 점막하층까지 침범한 위암은 T1b, 근육층까지 침범한 위암은 T2, 장막하층까지 침범한 위암을 T3, 장막층까지 침범한 위암은 T4a, 주변장기까지 침범한 위암을 T4b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M (Distant Metastasis, 원격 전이)    

-  다른 장기로의 전이, 복막 전이, 위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있는 림프절로의 전이 등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분류합니다.
-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M1, 없는 경우 M0로 분류합니다.
 






  •   T,N,M을 종합하여 IA, IB, IIA, IIB, IIIA, IIIB, IIIC, IV로 분류합니다.   

 


 

TNM 병기 분류 7판  

 

임상적 병기  

  •   수술 전 시행하는 검사들을 통해 추정하는 병기입니다.   
  •   수술 전 검사들의 불완전한 진단 정확도 때문에 위암에서 임상적 병기는 최종 병기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   원격 전이가 있어 수술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원격 전이 자체로 IV기(말기)에 해당하게 됩니다.   

 

병리학적 병기  

  •  병리학적 병기란 수술로 절제된 조직을 병리학적으로 검사하여 진단된 최종 병기를 의미합니다.   
  •  치료 후 경과(생존율, 재발률 등)를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향후 추가적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데도 사용됩니다. 
  • 기관마다 다르지만 수술 후 약 1주일 전후에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 병리학적 병기는 수술전 검사로 판단하는 임상적 병기와 다를 수 있습니다. 



 

-글 :  강남세브란스병원 위암클리닉 외과 최승호 교수


'암 Canc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Liver Cancer)이란?  (0) 2014.11.26
위암의 예방법과 조기발견 방법  (0) 2014.11.26
위암의 주증상  (0) 2014.11.26
위암의 위험요인  (0) 2014.11.26
위암(Gastric Cancer)이란?  (0) 2014.11.26
Posted by 탑스미네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