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1 Thiamin
비타민 2014. 11. 24. 03:18 |비타민 B1 Thiamin
티아민(thiamin)은 수용성의 B 군 비타민으로 이전에는 비타민 B1 또는 aneurine으로 알려져있다. 1930년대에 분리되고 그 성질이 밝혀졌으며, 비타민으로 밝혀진 최초의 유기물질 중 하나이다.
기능 Function
조효소 기능 Coenzyme Function
TPP는 매우 중요한 몇몇 효소의 작용에 필요한 조효소이다. 자유 티아민으로부터 TPP의 합성을 위해서는 마그네슘,삼인산 아데노신(adenosine triphosphate, ATP), 그리고 티아민 피로포스포키나제(thiamin pyrophosphokinase) 효소 등이 필요하다.
비효소 기능 Noncoenzyme Function
TTP는 신경과 근육 세포에 농축되어 있다. 동물 실혐에 의하면 TTP는 막 이온 채널을, 아마도 인산화 시키면서 활성화시키는 것 같다.
나트륨, 칼륨, 염소 등의 전해질이 막 이온 채널을 통해 신경세포와 근육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는 것은 신경 자극 전달과 수의적 근육 작용에 필요하다.
결핍증 Deficiency
각기병(Beriberi)은 심한 티아민 결핍에 의한 질환으로 기원전 2600년 중국의 문헌에서 이미 묘사되고 있다. 티아민 결핍은 심혈관, 신경, 근육, 소화기계에 영향을 미친다. 각기병은 침해된 장기가 어디인가에 따라 신경(dry), 심장(wet), 뇌(cerebral) 각기병으로 불린다.
일일 권장량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탄수화물과 에너지 섭취량이 많을 수록 티아민이 맣이 필요하다. 열량을 1,000Kcal 섭취량 0.5mg의 티아민을 권장하며, 저열량식이를 하는 경우에도 하루 티아민 섭취량이 1mg 이하로 낮아지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국성인 남자의 티아민 1일 권장량은 1.3mg이며, 성인여자의 권장량은 1.0mg이다.
질병 예방 Disease Prevention
울혈성 심부전 Congestive Heart Failure
심한 티아민 결핍(wet beriberi) 환자는 심장 기능이 악화되어 결국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CHF)에 빠질 수 있다. 각기병의 심장 증상은 산업화된 나라에서는 매우 드물지만, 다른 원인의 울혈성 심부전은 흔하며 특히 노인에 많다.
치료에 사용되는 이뇨제 중 특히 퓨로세마이드(furosemide, 라식스 Lasix)는 티아민 배설을 증가시켜 경미한 티아민 결핍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암 Cancer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종류의 암 환자의 일부에서 티아민 결핍이 관찰되어 왔다. 최근의 세포와 동물실험 연구에 의하면 빠른 속도로 분열하는 암세포는 티아민 요구량이 매우 많다.
공급원 Sources
식품 공급원 Food Sources
통곡식, 강낭콩이나 완두콩 등 콩류, 견과류, 돼지고기 살코기, 효모 등에 티아민이 풍부하다. 정제된 밀가루나 쌀,백미, 백색 밀가루로 만든 빵이나 파스타 등은 정제 과정에서 대부분의 티아민이 소실되므로 티아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아민 함유식품 TOP10(100g) (Source: USDA National Nutrient data base) | ||||
순위 | 음식 | Food items | 함량/100g | RDA |
1 | 참깨 | Sesame Seeds | 1.60 mg | 106% |
2 | 해바라기씨 | Sunflower Seeds | 1.48 mg | 99% |
3 | 허브류 | 코리안더, 타임, 로즈마리, 오레가노 | 1.2 mg | 83% |
4 | 잣 | Pine Seeds | 1.2 mg | 83% |
| 파스타치오 | Pastachio | 0.8 mg | 53% |
5 | 세이지 | Dried Sage | 0.75 mg | 50% |
6 | 전갱이 | Fish, Pompano | 0.67 mg | 45% |
7 | 피칸 | Pecans | 0.66 mg | 43% |
8 | 파프리카 | Paprica | 0.65 mg | 43% |
9 | 겨자씨 | Mustard seed, yellow | 0.54 mg | 36% |
10 | 참치 | Tuna | 0.50 mg | 35% |
(RDA : 1일 섭취권장량 1.5mg에 대한 함량비율) |
[출처] 비타민 B1 Thiamin|작성자 에코힐링
'비타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타민 B3 니아신 Niacin (0) | 2014.11.24 |
---|---|
비타민 B2 Rivoflamin (0) | 2014.11.24 |
비타민 D의 효능 (0) | 2014.11.24 |
비타민 B. 카르니틴 L-Carnitine (0) | 2014.11.23 |
비타민 E [tocopherol] (0) | 201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