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5,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비타민 B5,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
판토텐산은 비타민 B5로도 알려져 있으며 보조효소 A(coenzyme A, CoA)와 아실(acyl)전달 단백질의 성분이다.
이러한 역할로 판토텐산은 사실상 모든 형태의 생물에 필수적이다.
기능 Function
보조효소 A Coenzyme A
보조효소 A의 성분으로서 판토텐산은 생명을 유지하는 여러 화학 반응을 위해 필수적이다.
보조효소 A는 지방, 탄수화물, 단백질로부터 삼인산 아데노신(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adenosine triphosphate, ATP) 형태의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필수 지방, 콜레스테롤,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을 위해서는 보조효소 A가 필요하며, 신경 전달 물질(neurotransmitter)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멜라토닌(melatonin)의 합성에도 마찬가지로 필요하다.
혈색소의 성분인 헴(Heme)의 합성도 보조효소 A를 포함한 화합물을 필요로 한다. 수많은 약물과 독물의 간 대사에도 보조효소 A가 필요하다.
결핍증 Deficiency
사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판토텐산 결핍증은 매우 드물고 심각한 영양결핍 사례에서만 발견된다.
제 2차 세계 대전 당시 필리핀, 버마, 일본의 죄수들은 발에 타는 듯한 통증, 무감각(numbness)과 저린감(tingling)을 경험했으며 이는 판토텐산에 의해 완화되었다.
판토텐산 결핍 쥐는 부신에 손상이 생겼고 원숭이는 혈색소의 구성 성분인 헴의 생성이 감소하여 빈혈이 발생했다.
판토텐산 결핍증을 가진 개는 저혈당, 빈호흡과 빈맥, 경련을 일으켰다. 닭에서는 피부 자극, 깃털 변화, 말이집(수초)의 변성과 관련된 척수 신경 손상이 발생하였다.
적정 섭취량 The Adequate Intake Level
한국인의 판토텐산 권장량은 설정되지 않았으나 성인의 경우 적당한 하루 섭취량은 5~10mg이며 최근 미국에서는 하루에 6mg을 권장하고 있다.
질병 예방 Disease Prevention
상처 치유 Wound Healing
판토텐산 경구 복용과 피부에 판토테놀(pantothenol) 연고 사용은 동물에서 피부 상처 폐쇄를 촉진하고 반흔 조직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공급원 Sources
식품 공급원 Food Sources
판토텐산의 풍부한 공급원으로 간과 콩팥, 효모, 달걀 노른자, 브로컬리가 있다. 생선, 조개, 닭고기, 우유, 요거트,콩, 버섯, 아보카도, 고구마 또한 좋은 공급원이다.
통곡식은 판토텐산의 좋은 공급원이지만 가공되거나 정제된 곡물에서는 35-75%의 손실이 초래된다.
장내 세균 Intestinal Bacteria
정상적으로 대장에 집락을 형성하는 세균은 스스로 판토텐산을 만들 수 있다.
판토텐산 함유식품 TOP10(100g) (Source: USDA National Nutrient data base) | ||||
순위 | 음식 | Food items | 함량/100g | RDA |
1 | 간 | Liver | 8.3 mg | 83% |
2 | 현미 | Rice Bran | 7.4 mg | 74% |
3 | 해바라기씨 | Sunflower Seeds | 7.1 mg | 71% |
4 | 우유파우더 | Whey Powder | 5.6 mg | 56% |
5 | 버섯 | Mushrooms | 15 mg | 75% |
6 | 캐비어 | Caviar | 3.5 mg | 35% |
7 | 치즈 | Cheese | 3.5 mg | 35% |
8 | 말린 토마토 | Dried Tomato | 2.1 mg | 21% |
9 | 연어 | Salmon | 1.6 mg | 16% |
10 | 아보카도 | Avocado | 1.5 mg | 15% |
(RDA : 1일 섭취권장량 10mg에 대한 함량비율) |
[출처] 비타민 B5, 판토텐산 Pantothenic Acid|작성자 에코힐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