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B12
비타민 B12, 코발라민(cobalamin)
비타민 B12는 비타민 중에서 가장 크고 가장 복잡하며, 금속 이온인 코발트(cobalt)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비타민 B12 활성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코발라민(cobalamin)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기능 Function
메티오닌 신타아제의 보조효소 Cofactor for Methionine Synthase
메틸코발라민(Methylcobalamin)은 엽산에 의존하는 효소인 메티오닌 신타아제(Methionine Synthase)가 기능하는 데 필요하다.
메틸말로닐-보조효소 A 뮤타아제의 보조인자 Cofactor for Methylmalonyl-CoA Mutase
5-디옥시아데노실 코발라민(5-deoxyadenosylcobalamine)은 L-메틸말로닐-보조효소 A (L-Methylmalonyl-CoA)를 숙시닐-보조효소A (Succinyl-CoA)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 작용에 필요하다. 이 생화학 반응은 지방(fat)과 단백질(proteins)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핍증 Deficiency
비타민 B12는 60세 이상 인구의 10 내지 15%에서 결핍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 음식에 함유된 비타민 B12는 위, 췌장, 소장이 정상적으로 기능해야만 흡수될 수 있다.
위에서 위산과 효소는 비타민 B12를 음식물로부터 분해시켜 R 단백질(R protein)이라는 다른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도록 만든다.
비타민 B12 결핍의 원인 Cause of Vitamin B12 Dificiency
비타민 B12 결핍의 가장 흔한 원인은 악성 빈혈(pernicious anemia)과 흡수장애(malabsorption)이다.
악성 빈혈 Pernicious anemia
악성 빈혈(pernicious anemia)은 60세 이상 인구의 약 2%에서 발견된다. 빈혈이 흔한 증상이지만 이는 실제로 위의 자가 면역 염증 반응(autoimmune inflammation)으로 인해 자가 항체에 의해 위 세포가 파괴되어 가는 과정 중 말기에 나타나는 소견이다.
악성 빈혈이 발병하기 전 체내의 비타민 B12 저장량이 충분하다면, 이러한 결핍 증상이 나타나는 데는 수 년이 걸릴 수 있다. 악성 빈혈 환자의 친척 중 약 20%에서 마찬가지로 악성 빈혈에 이환되며 이는 유전적 소인이 있음을 시사한다. 악성 빈혈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장에서의 흡수를 대신하기 위해 비타민 B12 주사를 필요로 한다.
흡수 장애 Food-Bound Vitamin B12 Malabsorption
음식물에 결합된 비타민 B12의 흡수 장애(Food-Bound Vitamin B12 Malabsorption)는 유리된 비타민 B12는 완전히 흡수할 수 있으나 음식이나 단백질에 결합된 비타민 B12를 흡수하는 능력에 장애가 있는 경우를 말한다.
위축성 위염 Atrophic Gastritis
위축성 위염은 60세 이상 인구의 10 내지 30%에서 이환되어 있으며 흔히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균과 관련되어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균 감염은 위의 만성 염증을 일으키며 이는 궤양, 위축성 위염, 그리고 종종 위암과 관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영양 권장량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RDA)
한국성인의 비타민 B12의 권장량은 설정되어 있지 않다. 미국성인의 1일 권장량은 2㎍이다.
육류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할 때 비타민 B12의 권장량을 충족시킬 수있으며, 권장량 수준으로 섭취하는 사람으로서 비타민B12를 정상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사람은 2~3년간 사용할수 있는 양을 간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비타민B12 결핍증이 나타날 우려가 거의 없다.
질병 예방 Disease Prevention
심혈관 질환 Cardiovascular Diseases
몇몇 연구에 의하면 비타민 B12 결핍은 60세 이상 인구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 증가의 주요 원인이었다.
두 개의 연구 결과에서는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아져 있는 노인의 60% 이상에서 혈중 MMA 농도가 증가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암 Cancer
한 케이스 컨트롤 연구(case-control study)에서는 나중에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여성 195명과 나이를 짝지은(age-matched) 유방암이 아닌 여성 195명의 혈청(serum) 엽산(folate), 비타민 B6, 비타민 B12 상태를 비교하였다.
헌혈 당시 폐경기였던 여성들의 비타민 B12 혈중 농도와 유방암의 관련성은 문턱값 효과(threshold effect)를 나타냈다. 유방암의 위험은 비타민 B12 혈중 농도가 가장 낮은 5분위수군(quintile, 연구 대상의 5분의 1)에서 가장 높은5분위수군의 여성에 비해 2 배 이상 높았다.
신경관 결손 Neural Tube Defects
신경관 결손(Neural Tube Defects, NTD)은 무뇌증(anencephaly)이나 척추갈림증(spina bifida, 이분척추)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파괴적이고 때로는 치명적인 출생 결손이다. 이 결손은 대개의 여성이 임신을 인지하지 못하는 수태(conception) 21일에서 27일 째에 일어난다. 임산부의 혈중과 양수 중의 비타민 B12 농도 저하는 신경관 결손(NTD)위험 증가와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임신 중 적절한 엽산과 비타민 B12 섭취로 신경관 결손을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급원 Source
비타민B12 함유식품 TOP10(100g) (Source: USDA National Nutrient data base) | ||||
순위 | 음식 | Food items | 함량/100g | RDA |
1 | 대합조개 | Clams | 99μg | 1648% |
2 | 홍합 | Mussels | 36μg | 600% |
3 | 문어 | Octopus | 36 mg | 600% |
4 | 굴 | Oyster | 24μg | 400% |
5 | 캐비어 | Caviar | 20μg | 333% |
6 | 고등어 | Mackerel | 19μg | 317% |
7 | 청어 | Herring | 18μg | 312% |
8 | 게 | Crab | 15.4μg | 257% |
9 | 랍스터 | Lobster | 4.04μg | 67% |
10 | 계란 | Eggs | 1.95μg | 33% |
(RDA : 1일 섭취권장량 6μg 에 대한 함량비율) |